Speaker
Ilkyun Nam
(Daegu University)
Description
과학 수업의 지도 모습은 교사의 개인적 요소와 상황 맥락적 요소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축척 되어 나타난다. 이 연구는 지리적 소외계층 무학년 복식학급을 지도하는 과학교사들이 효과적인 과학학습을 추구하는 활동체계를 CHAT으로 분석한 사례연구를 통해 초등 복식학급 과학교과지도 교사의 과학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과학교수활동 변형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교사 모두 활동체계에서 주체, 규칙, 공동체, 분업, 도구 간의 모순에 의해 무학년 복식학급 과학 수업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는 유사한 모순에 의한 어려움을 겪었으나 과학수업 지도의 주체인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 열정, 동기 수준, 경력, 교사교육수준과 사용하는 도구, 공동체, 분업에 대한 인식과 상호작용의 차이에 따라 모순을 극복하는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현장에서 무학년 복식학급의 효과적인 과학학습 지도를 위해서 과학교사들의 수업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행위성과 이를 발현시키고 지원하는 문화의 구조에 대한 성찰과 변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rimary author
Ilkyun Nam
(Daegu University)
Co-author
Prof.
Sungmin Im
(Daegu University)